'그것이 알고 싶다'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그것이 알고 싶다7

HTML과 CSS의 차이, 블로그 폰트 크기 변경 어디서 할까? 티스토리에서 스킨편집을 하려고 하면 HTML이나 CSS에 들어가서 편집을 하게 됩니다. 일단 시키는 대로 따라 하긴 하지만, 도대체 HTML과 CSS가 무엇이 다르길래 어떨 때는 HTML에서 수정하고 또 어떨 때는 CSS에서 수정하는 걸까요? 블로그 글자크기 변경은 왜 CSS에서 하는 걸까요? HTML이란 우리가 작성하는 문서를 웹페이지에서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를 표시하는 언어입니다. 로 문서의 시작을 표시하고 로 문서의 끝을 표시합니다. 이와 같은 html 명령어를 우리는 태그라고 부릅니다. 띄어 쓰기를 표시하는 명령어인 등 몇몇 예외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태그는 로 시작하고 으로 끝을 맺어야 완성됩니다. 전체 문서는 와 사이에 적어야 하고 , 타이틀은 사이에, 본문글은 와 사이에 적습니다. 이렇게 태그.. 2023. 3. 21.
내컴퓨터 윈도우 버전 확인하기 현재 내 컴퓨터에서 사용하고 있는 윈도우 버전을 확인하는 두 가지 방법입니다. 1. 단축키로 빠르게 윈도우 버전을 확인합니다. ① "윈도우 로고키"와 "R"키를 함께 누릅니다. ② 열기 창이 아래 그림처럼 열립니다. 열기창에 "winver" 라고 입력합니다. winver는 window version의 약자겠지요? ③ 입력후 확인을 눌러주면 윈도우 버전을 알려주는 정보창이 뜹니다. 2. [설정] 에서 윈도우 사양과 장치 사양 정보를 확인합니다. 단축키를 사용하지 않고 설정메뉴에서 정보확인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윈도우 버전뿐만 아니라, 윈도우 운영체제가 32비트인지, 64비트인지 RAM은 얼마나 되는지 장치사양에 대한 내용들도 함께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작] -> [설정] -> [시스템] -> ⓘ 정보 .. 2023. 2. 24.
해상도와 픽셀수, DPI와 PPI 무엇이 다른가 오늘은 이미지를 저장할 때 확인하는 해상도의 단위인 DPI와 PPI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사진이나 이미지 파일을 확인하면서 해상도를 물어보곤 합니다. 몇 DPI인지 또는 PPI가 얼마인지를 묻습니다. cm나 inch처럼 어떤 단위로 해상도를 나타낸다는 건 알겠는데, 어떤 경우에는 DPI를 물어보고 어떤 경우에는 PPI를 물어봅니다. 똑같은 이미지를 놓고 DPI와 PPI를 구분해서 부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오늘은 해상도, 픽셀수, DPI, PPI, 함께 사용해서 더 혼동하기 쉬운 화질을 표현하는 용어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해상도란? 1인치(25.4mm)안에 들어가는 픽셀(pixel) 또는 점(dot)의 수 해상도( display resolution)는 화면상에 이미지가 얼마나 선명하게 표현되었.. 2023. 2. 21.
벡터(Vector)란? _ 포토샵말고 일러스트파일이 필요한 이유 벡터(Vector) 파일의 저장방식/ 래스터 파일과 벡터 파일 비교/ 벡터 파일의 장점/ 안녕하세요? 오늘작업실입니다. 작업한 이미지를 어떤 출력물로 만들어 내고자 한다면 어쩔 수 없이 마주치는 것이 일러스트입니다. 포토샵으로 작업했으면 됐지 왜 또 다른 파일이 필요한 건데?라고 항변해 봤자, 출력소에서는 일러스트 파일을 원합니다. 도대체 왜 그런 걸까요? 오늘은 일러스트 파일은 도대체 뭐가 다르기에, 포토샵 말고 일러스트파일을 찾는지를 알아봐야겠습니다. 1. 디지털 이미지를 저장하는 두 가지 방식: 래스터와 벡터 디지털 이미지를 저장하는 방식은 크게 래스터(Raster=비트맵:Bitmap) 방식과 벡터(vector) 방식 두 가지로 나뉜다고 합니다. 포토샵 파일(PSD, JPG, PNG)은 래스터방식이.. 2022. 12. 27.
JPG파일로 저장할때 유독 글자가 깨져보이는 이유 JPG파일의 특징/저장방식/ 오늘은 정성 들여 편집한 내 이미지 속 글자가 깨져 보이는 이유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미지 파일을 수정할때 혹시 이런 경험 있으신가요? 조금만 더, 조금만 더... 조금씩 손을 봐서 마침내 편집이 끝난 이미지 파일! 이제 다 됐다 싶은 순간, 이미지가 어쩐지 처음보다 뿌옇고 안개 낀 느낌이 드는... 건 기분 탓일까요? 이미지는 차지하고 글자는 더 희미해 보입니다. 작업을 너무 열심히 해서 눈이 침침해진 걸까요? 기분 탓도 눈이 침침해 진 탓도 아닙니다. 그 이유는 바로 JPG파일의 저장방식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JPG파일의 특징을 이해하기 위해 JPG가 저장하는 방식을 잠깐 살펴보겠습니다. 왼쪽 동그라미 부분을 확대한 사진이 오른쪽 사진입니다. 분명 선명한 사진 이미.. 2022. 12. 26.
JPG/ PNG/ PSD/ AI/ EPS _ 이미지 파일의 차이점 이미지 파일 JPG, PNG, PSD, AI, EPS의 차이는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오늘작업실입니다. 오늘은 JPG/ PNG/ AI/ EPS/ PSD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림 하나를 저장하려고 했을 뿐인데... 파일 종류는 왜 이리도 많은지.... 도대체 어디에 저장을 해야 좋을지... 이미지 저장 파일 중 대표적인 것들을 알아보기로 합니다. JPG/JPEG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이미지 저장방식. JPG(=JEPG)는 높은 화질을 유지하면서도 빠른 전송이 가능하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높은 화질(1600만 색상)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고해상도를 필요로 하는 사진, 그림 전송에 많이 사용됩니다. JPG파일은 이미지를 색상정보가 입력된 작은 블록들(픽셀:pixel)들로 추출해서.. 2022. 12. 26.